• 자기계발 (374)
  • CEO/리더십 (50)
  • 글로벌경제/트랜드 (15)
  • 커뮤니케이션/심리 (42)
  • 경제/자산관리 (44)
  • 소설 (164)
  • 시/에세이 (180)
  • 인문/교육 (207)
  • 영어 (120)
  • 일본어 (18)
  • 중국어 (20)
  • 제3외국어 (34)
  • 동화 (397)
  • 영어동화 (132)
  • 어린이 (64)
  • 교육 (2)
  • 문학 (4)
  • 사회 (21)
  • 역사 (11)
  • 예술 (26)
  • 인문학 (86)
  • 철학 (15)
  • 과학기술 (18)
  • 정치 (1)
  • 종교 (15)
  • 기술혁신 (6)
  • 다문화 (2)


9791107028059
인문/교육 > 인문학
콩글리시 찬가

책소개

‘백 퍼’ 한국어는 없다!
콩글리시에 한국 국적을 허하라!

‘빼박캔트’ 콩글리시라고 생각했던 말 속에
외래어의 역사와 문화가 있다

15개국어를 하는 ‘언어괴물’ 신견식이 한글날 570돌을 맞아 과감히 콩글리시
문제를 들고 나왔다. 『언어괴물 신견식의 콩글리시 찬가』(뿌리와이파리)는
‘번역가들의 선생님’이라고 불리며 자유자재로 언어 사이를 넘나드는 그가
블로그와 페이스북에 올려 인기를 얻었던 글을 모으고 다듬어 출간한 첫 저서다.

해마다 한글날만 되면 국적 불명 외래어를 지양하자는 움직임이 이목을 끈다.
그러나 배척 대상으로 낙인찍힌 ‘콩글리시’ 표현들이 알고 보면 다른 나라에서도
비슷하게 쓰인다는 사실은 몰랐을 것이다. ‘빠꾸놓다’라는 표현은 핀란드에서,
‘추리닝’과 비슷한 말을 루마니아에서도 쓴다. 문화와 역사와 언어적 특징에
따라 외국어는 외래어로 정착된다. 이 책은 우리나라로 흘러들어 온 여러
‘콩글리시’들의 기원을 다룬 최초의 책이자,
콩글리시의 명예회복(?)을 위한 변호다.

저작권 관련 배포 금지

저작물(본 이용허락에서 정의됨)은 본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의 일반이용허락(Creative Commons Korea Public License, 이하 “이용허락”)'의 조건에 따라 제공됩니다. 저작물은 저작권법 및/또는 기타의 법에 의하여 보호됩니다. 본 이용허락 또는 저작권법에 따라 허용된 것 이외의 저작물의 이용은 금지됩니다.
귀하(본 이용허락에서 정의됨)는, 본 이용허락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기 위한 권리를 행사함으로써, 본 이용허락의 조건을 수용하고 이에 동의한 것으로 됩니다. 이용허락자는, 귀하가 본 이용허락의 조건을 수용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본 이용허락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기 위한 권리를 부여합니다.
  • 저자 : 신견식
  • 저작사 : YES24
  • 반입일 : 2017-12-01
  • 파일용량 : 29.2MB
  • 재생시간 : 41분 53초
  • 구성 : 6 회
  • 제공 : (주)컨텐츠포탈
  • 문의 : 070-8656-3476
다운로드를 진행하려면 오디오락 플레이어를 설치해야 합니다.
오디오락 플레이어를 설치 하시겠습니까?
  • 제목
    재생시간
  • 콩글리시의 뿌리를 찾아서
    0:07:32
  • 일본식 영어가 아닌 말들
    0:06:57
  • 그 말은 영어일까
    0:06:46
  • 한국어와 영어의 충돌과 융합
    0:07:47
  • 한국식 발음이 만들어지기까지
    0:05:53
  • 올바른 콩글리시
    0:06:58